본청, 읍면동 등 전 부서 업무용 PC에서 접속 차단
개인정보 유출 우려 대응… 내부 보안 강화 조치

논산시(시장 백성현)는 내부 업무용 PC에서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 접속을 전면 차단한다고 2월 11일 밝혔다.
‘딥시크’는 중국 AI 스타트업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 모델로, 저비용·고성능 효과로 주목받았으나, 사용자 동의 없이 과도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입력 데이터를 자동으로 학습하는 등 보안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앙부처, 금융 및 공공기관에서도 사용 제한 조치가 확대되고 있으며, 논산시도 기관 내부 보안 강화를 위해 이와 같은 조치를 결정했다.
논산시는 유해사이트 차단 시스템과 방화벽을 통해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으며, 직원들에게 생성형 AI 사용 시 보안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도록 안내하는 내부 공지를 게시했다.
시 관계자는 “개인 휴대전화에서도 딥시크 사용 시 개인정보가 포함된 문서나 사진이 업로드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개인정보 및 중요 내부자료 유출을 원천 차단해 시민들에게 안전한 대민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본청, 읍면동 등 전 부서 업무용 PC에서 접속 차단
개인정보 유출 우려 대응… 내부 보안 강화 조치
논산시(시장 백성현)는 내부 업무용 PC에서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 접속을 전면 차단한다고 2월 11일 밝혔다.
‘딥시크’는 중국 AI 스타트업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 모델로, 저비용·고성능 효과로 주목받았으나, 사용자 동의 없이 과도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입력 데이터를 자동으로 학습하는 등 보안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앙부처, 금융 및 공공기관에서도 사용 제한 조치가 확대되고 있으며, 논산시도 기관 내부 보안 강화를 위해 이와 같은 조치를 결정했다.
논산시는 유해사이트 차단 시스템과 방화벽을 통해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으며, 직원들에게 생성형 AI 사용 시 보안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도록 안내하는 내부 공지를 게시했다.
시 관계자는 “개인 휴대전화에서도 딥시크 사용 시 개인정보가 포함된 문서나 사진이 업로드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개인정보 및 중요 내부자료 유출을 원천 차단해 시민들에게 안전한 대민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