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정보, 국민비서 통해 전국 청년에 자동 전달
수능 이후 고3 청년 대상 청년정책 설명회 제공 제안 교육부 수용
충남도가 자체 개발한 청년정책 통합 플랫폼 ‘온통청년’이 중앙정부의 공식 정책 시스템에 반영되며, 청년정책 정보 접근 방식의 혁신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도는 5월 9일, 국무조정실 주관으로 열린 제24차 지방자치단체 청년정책책임관 회의에서 ‘온통청년’ 플랫폼 기능 고도화를 위한 도의 건의가 정부에 의해 공식 수용됐다고 밝혔다.
주요 반영 내용은 ‘온통청년’을 통해 수집된 지역 청년정책 정보를 행정안전부의 ‘국민비서’ 푸시 서비스와 연계해 전국 청년들에게 맞춤형 알림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기존의 수동적 정보 검색 방식에서 벗어나, 청년들이 필요한 정책을 능동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된 것이다.
앞으로는 ‘2025년 달라지는 주요 청년정책’, 청년행사 안내, 청년참여 기회 등 다양한 정보를 청년의 상황과 관심 분야에 맞춰 실시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는 기초지자체에만 부여돼 있던 청년정책 정보 입력 권한을 광역지자체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정부로부터 수용받으며, 도내 전체 청년정책 정보를 보다 신속하고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
남성연 도 청년정책관은 “온통청년은 청년정책을 모아두는 단순한 창구를 넘어,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자동으로 전달하는 능동형 정책 플랫폼으로 진화 중”이라며 “이번 중앙정부 수용 결정은 충남 청년정책의 전국 확산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밝혔다.
한편 충남도는 이 외에도 ▲청년참여 위원회 평가 기준 개선 ▲고3 학생 대상 청년정책 체험 프로그램 도입 등 총 4건의 정책 제안을 중앙정부로부터 수용받으며, 청년정책 혁신의 선도 지자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도는 앞으로도 ‘정부24’와의 연계를 통한 알림 서비스 확대, 청년친화도시 지정 확대 등 전국 단위 청년정책 발전 방향에 대한 건의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정책 정보, 국민비서 통해 전국 청년에 자동 전달
수능 이후 고3 청년 대상 청년정책 설명회 제공 제안 교육부 수용
충남도가 자체 개발한 청년정책 통합 플랫폼 ‘온통청년’이 중앙정부의 공식 정책 시스템에 반영되며, 청년정책 정보 접근 방식의 혁신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도는 5월 9일, 국무조정실 주관으로 열린 제24차 지방자치단체 청년정책책임관 회의에서 ‘온통청년’ 플랫폼 기능 고도화를 위한 도의 건의가 정부에 의해 공식 수용됐다고 밝혔다.
주요 반영 내용은 ‘온통청년’을 통해 수집된 지역 청년정책 정보를 행정안전부의 ‘국민비서’ 푸시 서비스와 연계해 전국 청년들에게 맞춤형 알림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기존의 수동적 정보 검색 방식에서 벗어나, 청년들이 필요한 정책을 능동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된 것이다.
앞으로는 ‘2025년 달라지는 주요 청년정책’, 청년행사 안내, 청년참여 기회 등 다양한 정보를 청년의 상황과 관심 분야에 맞춰 실시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는 기초지자체에만 부여돼 있던 청년정책 정보 입력 권한을 광역지자체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정부로부터 수용받으며, 도내 전체 청년정책 정보를 보다 신속하고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
남성연 도 청년정책관은 “온통청년은 청년정책을 모아두는 단순한 창구를 넘어,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자동으로 전달하는 능동형 정책 플랫폼으로 진화 중”이라며 “이번 중앙정부 수용 결정은 충남 청년정책의 전국 확산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밝혔다.
한편 충남도는 이 외에도 ▲청년참여 위원회 평가 기준 개선 ▲고3 학생 대상 청년정책 체험 프로그램 도입 등 총 4건의 정책 제안을 중앙정부로부터 수용받으며, 청년정책 혁신의 선도 지자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도는 앞으로도 ‘정부24’와의 연계를 통한 알림 서비스 확대, 청년친화도시 지정 확대 등 전국 단위 청년정책 발전 방향에 대한 건의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