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리더십콘퍼런스(ALC)서 한일 지방정부 협력 모델 제안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지역 외교를 통해 한일 간 새로운 협력의 틀을 만들자”며, 지방정부 중심의 교류 확대를 공식 제안했다.
김 지사는 5월 21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16회 아시안 리더십 콘퍼런스(ALC) ‘한일 관계의 미래: 한일 관계 100년을 향하여’ 세션에 연사로 참석해 ‘한일의 미래, 지역에서 연결하다–충청남도의 지역외교 제안’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아시안리더십콘퍼런스(ALC)는 세계 정치 지도자, 기업인, 석학들이 모여 국제적 이슈에 대해 해법을 모색하는 국제 포럼으로, 이번 행사에는 마이크 폼페이오 전 미국 국무장관, 토니 애벗 전 호주 총리, 주한 외교사절 등 국내외 주요 인사 10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세션에는 김 지사를 비롯해 가와카쓰 헤이타 전 시즈오카현 지사, 시마다 하루오 게이오대 명예교수 등 일본 측 주요 인사도 참여해 양국 간 지방정부 중심 협력 가능성을 모색했다.
김 지사는 “한일 관계는 역사와 안보, 경제 문제를 둘러싼 반복적인 갈등으로 양국 국민 간 신뢰가 흔들려왔다”고 지적하며, “지방정부는 정치적 부담이 적은 만큼, 일상에서의 실질적 교류를 통해 신뢰를 쌓고 협력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K-컬처를 중심으로 한 공감 기반의 교류는 양국 국민 간 인식 전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충남이 그간 실천해 온 외교적 경험을 소개했다. 현재 충남도는 일본의 구마모토, 나라, 시즈오카현 등과 우호협력 관계를 유지하며 다각적인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김 지사는 이날 강연에서 다음과 같은 한일 지방정부 협력 모델을 제안했다:
- 청년세대 교류 및 공동 성장 기반 구축
- 문화유산 공동 활용을 통한 문화외교 플랫폼 창출
- 백제문화제를 활용한 민간교류 활성화
- 기후 및 농업 중심 정책 협력 강화
- 지속가능한 외교 실행 체계 구축
끝으로 “2065년 한일 국교 정상화 100주년을 어떤 모습으로 맞을지는 오늘 우리의 선택에 달려 있다”며, “지방이 외교의 중심이 되어 국제무대를 이끄는 새로운 100년의 주역이 되자”고 역설했다.
아시안리더십콘퍼런스(ALC)서 한일 지방정부 협력 모델 제안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지역 외교를 통해 한일 간 새로운 협력의 틀을 만들자”며, 지방정부 중심의 교류 확대를 공식 제안했다.
김 지사는 5월 21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16회 아시안 리더십 콘퍼런스(ALC) ‘한일 관계의 미래: 한일 관계 100년을 향하여’ 세션에 연사로 참석해 ‘한일의 미래, 지역에서 연결하다–충청남도의 지역외교 제안’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아시안리더십콘퍼런스(ALC)는 세계 정치 지도자, 기업인, 석학들이 모여 국제적 이슈에 대해 해법을 모색하는 국제 포럼으로, 이번 행사에는 마이크 폼페이오 전 미국 국무장관, 토니 애벗 전 호주 총리, 주한 외교사절 등 국내외 주요 인사 10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세션에는 김 지사를 비롯해 가와카쓰 헤이타 전 시즈오카현 지사, 시마다 하루오 게이오대 명예교수 등 일본 측 주요 인사도 참여해 양국 간 지방정부 중심 협력 가능성을 모색했다.
김 지사는 “한일 관계는 역사와 안보, 경제 문제를 둘러싼 반복적인 갈등으로 양국 국민 간 신뢰가 흔들려왔다”고 지적하며, “지방정부는 정치적 부담이 적은 만큼, 일상에서의 실질적 교류를 통해 신뢰를 쌓고 협력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K-컬처를 중심으로 한 공감 기반의 교류는 양국 국민 간 인식 전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충남이 그간 실천해 온 외교적 경험을 소개했다. 현재 충남도는 일본의 구마모토, 나라, 시즈오카현 등과 우호협력 관계를 유지하며 다각적인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김 지사는 이날 강연에서 다음과 같은 한일 지방정부 협력 모델을 제안했다:
끝으로 “2065년 한일 국교 정상화 100주년을 어떤 모습으로 맞을지는 오늘 우리의 선택에 달려 있다”며, “지방이 외교의 중심이 되어 국제무대를 이끄는 새로운 100년의 주역이 되자”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