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KAIST·뉴사우스웨일스대·뉴사우스웨일스주와 업무 협약 체결
스타트업·탄소중립·산학연계 등 다각적 협력…충남 ‘베이밸리 메가시티’ 구상 탄력
김태흠 지사, 뉴사우스웨일스 산업통상 장관과 교류·협력 논의도

(왼쪽부터) 아틸라 브렁스 UNSW 총장, 아누락 찬티봉 NSW 산업통상 장관, 김태흠 충남도지사, 김경수 KAIST 대외부총장.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30일 호주 시드니 UNSW 총장관에서 김경수 KAIST 대외부총장, 아누락 찬티봉 NSW 산업통상 장관, 아틸라 브렁스 UNSW 총장과 ‘학술 및 기업 교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UNSW)가 첨단 산업 분야의 교류 및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충남도와 뉴사우스웨일스주(NSW)가 양 대학의 협력을 공식 확인하고 지지를 표명한 가운데 성사됐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호주를 방문 중인 가운데, 5월 30일 시드니 UNSW 총장관에서 김경수 KAIST 대외부총장, 아누락 찬티봉 NSW 산업통상장관, 아틸라 브렁스 UNSW 총장과 함께 협약서에 서명했다.
양 대학은 협약을 통해 ▲스타트업 교환 프로그램 및 지원 ▲모빌리티·바이오테크 분야 산학협력 및 공동 연구개발 ▲공동 교육 및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정책 포럼 및 글로벌 이니셔티브 추진 등 다방면에서 협력을 약속했다.
김태흠 지사는 협약식에서 충남을 △기업하기 좋은 충남 △혁신이 넘치는 충남 △파이오니어(개척자) 충남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소개하며, “디스플레이·반도체·석유화학·모빌리티 등 탄탄한 산업 기반 위에 과학기술과 미래산업을 육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충남은 탄소중립경제특별도를 선포한 바 있으며, 이를 경제 성장의 동력으로 삼고 있다”며 “석탄화력발전소의 수소 발전 전환,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누락 찬티봉 장관은 최근 방한을 거론한 뒤 “불확실성이 큰 시대일수록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중요하다”며 “기술과 교육이 앞선 한국과의 협력을 중시하며, 호주와 한국이 상호 존중하며 함께 발전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태흠 지사가 30일 호주 시드니에서 열린 UNSW·KAIST 혁신창업 쇼케이스에서 전시 제품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김 지사와 아누락 찬티봉 장관 등은 협약 체결 직후 열린 간담회에서도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했으며, 김 지사는 “아산만 일대를 미국 실리콘밸리처럼 육성할 ‘베이밸리 메가시티’ 개발 구상과도 맞물려 이번 협약이 큰 의미를 가진다”고 말했다.
한편 UNSW는 1949년 설립된 연구중심 공립대학으로, 학부생 약 3만 5천 명, 대학원생 약 1만 8천 명이 재학 중이다. 세계 대학 순위 18위에 올라 있으며, 호주 내 공학 분야 1위를 자랑하는 명문 대학이다.
뉴사우스웨일스주는 호주 남동부에 위치한 주로, 면적은 충남의 98배, 인구는 약 4배에 달하며, 주도는 시드니다. GRDP는 충남보다 크지만 수출액은 충남이 앞서 있다. 특히 호주 상위 500대 기업 중 42%가 이 지역에 본사를 두고 있다.
충남도, KAIST·뉴사우스웨일스대·뉴사우스웨일스주와 업무 협약 체결
스타트업·탄소중립·산학연계 등 다각적 협력…충남 ‘베이밸리 메가시티’ 구상 탄력
김태흠 지사, 뉴사우스웨일스 산업통상 장관과 교류·협력 논의도
(왼쪽부터) 아틸라 브렁스 UNSW 총장, 아누락 찬티봉 NSW 산업통상 장관, 김태흠 충남도지사, 김경수 KAIST 대외부총장.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30일 호주 시드니 UNSW 총장관에서 김경수 KAIST 대외부총장, 아누락 찬티봉 NSW 산업통상 장관, 아틸라 브렁스 UNSW 총장과 ‘학술 및 기업 교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UNSW)가 첨단 산업 분야의 교류 및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충남도와 뉴사우스웨일스주(NSW)가 양 대학의 협력을 공식 확인하고 지지를 표명한 가운데 성사됐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호주를 방문 중인 가운데, 5월 30일 시드니 UNSW 총장관에서 김경수 KAIST 대외부총장, 아누락 찬티봉 NSW 산업통상장관, 아틸라 브렁스 UNSW 총장과 함께 협약서에 서명했다.
양 대학은 협약을 통해 ▲스타트업 교환 프로그램 및 지원 ▲모빌리티·바이오테크 분야 산학협력 및 공동 연구개발 ▲공동 교육 및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정책 포럼 및 글로벌 이니셔티브 추진 등 다방면에서 협력을 약속했다.
김태흠 지사는 협약식에서 충남을 △기업하기 좋은 충남 △혁신이 넘치는 충남 △파이오니어(개척자) 충남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소개하며, “디스플레이·반도체·석유화학·모빌리티 등 탄탄한 산업 기반 위에 과학기술과 미래산업을 육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충남은 탄소중립경제특별도를 선포한 바 있으며, 이를 경제 성장의 동력으로 삼고 있다”며 “석탄화력발전소의 수소 발전 전환,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누락 찬티봉 장관은 최근 방한을 거론한 뒤 “불확실성이 큰 시대일수록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중요하다”며 “기술과 교육이 앞선 한국과의 협력을 중시하며, 호주와 한국이 상호 존중하며 함께 발전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태흠 지사가 30일 호주 시드니에서 열린 UNSW·KAIST 혁신창업 쇼케이스에서 전시 제품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김 지사와 아누락 찬티봉 장관 등은 협약 체결 직후 열린 간담회에서도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했으며, 김 지사는 “아산만 일대를 미국 실리콘밸리처럼 육성할 ‘베이밸리 메가시티’ 개발 구상과도 맞물려 이번 협약이 큰 의미를 가진다”고 말했다.
한편 UNSW는 1949년 설립된 연구중심 공립대학으로, 학부생 약 3만 5천 명, 대학원생 약 1만 8천 명이 재학 중이다. 세계 대학 순위 18위에 올라 있으며, 호주 내 공학 분야 1위를 자랑하는 명문 대학이다.
뉴사우스웨일스주는 호주 남동부에 위치한 주로, 면적은 충남의 98배, 인구는 약 4배에 달하며, 주도는 시드니다. GRDP는 충남보다 크지만 수출액은 충남이 앞서 있다. 특히 호주 상위 500대 기업 중 42%가 이 지역에 본사를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