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 녹도서 70대 주민 심정지…주민·소방·헬기 공조로 생명 지켜내

최진주_소방교_응급처치_안내_사진
의료 사각지대인 충남 보령의 한 섬마을에서 15분간 멈춘 심장이 신속하고 정확한 삼박자 응급 대응 덕분에 다시 뛰기 시작했다.
7월 4일 충남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오후 3시 29분, 보령시 녹도에서 70대 주민 A씨가 마을회관 회의 도중 의식을 잃고 쓰러졌다는 신고가 119종합상황실에 접수됐다.
신고를 접수한 송주희 소방교는 상황의 위급함을 감지하고 즉시 구급상황관리팀 최진주 소방교에게 전화를 연결했다. 최 소방교는 영상통화로 상황을 확인하며, 당황한 주민들을 진정시키고 심폐소생술을 유도하며 응급처치를 실시간으로 지도했다.
최 소방교는 “손 잡지 말고 가슴을 압박하라”, “잘 하고 있다”는 말을 반복하며 현장의 주민을 격려했고, 자동심장충격기(AED)를 활용한 전기충격 방법도 설명했다. 이 같은 응급처치는 신고 후 약 15분 만에 A씨의 의식을 되돌려놓는 결과를 만들었다.
A씨는 호흡과 맥박을 회복했지만, 여전히 활력 징후가 불안정한 상태였다. 문제는 섬이라는 지리적 특수성. 충남소방헬기는 정비 중이었기에 충북소방본부에 긴급 출동을 요청했고, 청주공항을 출발한 헬기는 35분 만에 녹도에 도착했다.
A씨는 전북 익산 원광대병원으로 이송됐으며, 병원 측의 신속한 치료로 현재는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건강을 회복했다. 이송 과정에서는 전북소방의 구급차도 투입되는 등, 충남·충북·전북 소방의 긴밀한 공조가 빛났다.
최 소방교는 “주민들의 신속한 신고, 정확한 응급처치, 3개 도 소방의 공조라는 삼박자가 생명을 살렸다”며 “앞으로도 도민 생명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심정지는 심장이 멈추며 혈액순환이 중단되는 응급상황으로, 심폐소생술(CPR)을 즉시 시행할 경우 생존 확률이 3배 이상 높아진다. 충남도는 민선8기 출범 이후 농촌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CPR 교육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한편 충남소방본부가 이송한 도내 심정지 환자 수는 2022년 1,744명에서 2024년 1,521명으로 감소 추세이며, 환자 소생률은 같은 기간 11.3%에서 11.6%로 향상됐다.
보령 녹도서 70대 주민 심정지…주민·소방·헬기 공조로 생명 지켜내
최진주_소방교_응급처치_안내_사진
의료 사각지대인 충남 보령의 한 섬마을에서 15분간 멈춘 심장이 신속하고 정확한 삼박자 응급 대응 덕분에 다시 뛰기 시작했다.
7월 4일 충남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오후 3시 29분, 보령시 녹도에서 70대 주민 A씨가 마을회관 회의 도중 의식을 잃고 쓰러졌다는 신고가 119종합상황실에 접수됐다.
신고를 접수한 송주희 소방교는 상황의 위급함을 감지하고 즉시 구급상황관리팀 최진주 소방교에게 전화를 연결했다. 최 소방교는 영상통화로 상황을 확인하며, 당황한 주민들을 진정시키고 심폐소생술을 유도하며 응급처치를 실시간으로 지도했다.
최 소방교는 “손 잡지 말고 가슴을 압박하라”, “잘 하고 있다”는 말을 반복하며 현장의 주민을 격려했고, 자동심장충격기(AED)를 활용한 전기충격 방법도 설명했다. 이 같은 응급처치는 신고 후 약 15분 만에 A씨의 의식을 되돌려놓는 결과를 만들었다.
A씨는 호흡과 맥박을 회복했지만, 여전히 활력 징후가 불안정한 상태였다. 문제는 섬이라는 지리적 특수성. 충남소방헬기는 정비 중이었기에 충북소방본부에 긴급 출동을 요청했고, 청주공항을 출발한 헬기는 35분 만에 녹도에 도착했다.
A씨는 전북 익산 원광대병원으로 이송됐으며, 병원 측의 신속한 치료로 현재는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건강을 회복했다. 이송 과정에서는 전북소방의 구급차도 투입되는 등, 충남·충북·전북 소방의 긴밀한 공조가 빛났다.
최 소방교는 “주민들의 신속한 신고, 정확한 응급처치, 3개 도 소방의 공조라는 삼박자가 생명을 살렸다”며 “앞으로도 도민 생명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심정지는 심장이 멈추며 혈액순환이 중단되는 응급상황으로, 심폐소생술(CPR)을 즉시 시행할 경우 생존 확률이 3배 이상 높아진다. 충남도는 민선8기 출범 이후 농촌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CPR 교육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한편 충남소방본부가 이송한 도내 심정지 환자 수는 2022년 1,744명에서 2024년 1,521명으로 감소 추세이며, 환자 소생률은 같은 기간 11.3%에서 11.6%로 향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