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초대석] 논산시청 김봉순 건설과장 "92시간의 사투 끝에...제방 복구 "

놀뫼신문
2023-08-26

[표지초대석] 논산시청 김봉순 건설과장

92시간의 사투 끝에...제방 복구 


지난 7월 13일(목)부터 논산시 건설과는 비상사태에 돌입했다. 13일~15일까지 3일간 460㎜의 누적강수량을 기록하며 모든 하천 및 저수지가 만수위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이에 논산시 건설과는 1개 조에 2명씩 3개 조를 편성해, 1조는 탑정저수지에서 아호교까지, 2조는 아호교에서 논산대교까지, 3조는 논산대교에서 강경까지 24시간 예찰활동을 전개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비가 수그러지면서 수위가 50% 정도로 낮아지자, ‘파이핑현상’으로 16일 오전 5시 40분쯤 성동면 원봉리 인근 논산천 제방 일부가 무너졌다. 

“‘파이핑현상’이란 댐이나 제방의 기초지반에서 물의 통로가 생기면서 파이프 모양으로 구멍이 뚫려 흙이 세굴되면서 지반이 붕괴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이라는 김봉순 과장의 설명이다.



92시간의 사투, ‘인명사고 없음’에 감사할 뿐


논산시 김봉순 건설과장은 “매년 돌아오는 장마지만 대비가 완벽하게 만족스러운 적은 없었던 것 같다”며, “항상 ‘역대급 물폭탄’, ‘이례적 강수량’ 등이 홍수 원인으로 거론 되지만 물이 넘쳐서 탈이 나는 원리 자체는 그대로”라고 이야기한다.

그러면서 김 과장은 “대비가 더 치밀했더라면 피해를 줄일 수 있었을 거란 아쉬움을 남기지 않기 위해서, 그리고 시민들의 생명과 재산에 직결된 문제인 만큼 최선뿐만 아니라 할 수 있는 건 다했다”고 당시를 회상한다.

김봉순 과장은 “제방이 붕괴되자 가장 우려스러웠던 건, 인근 시설하우스에 ‘혹시 외국인 근로자가 기거하지 않았나?’하는 걱정이었다”며, “16일 아침부터 20일 새벽 4시 귀가할 때까지 ‘92시간’이라는 시간이 어떻게 지났는지 지금도 얼떨떨하다”고 이야기한다.

복구작업을 진행하는 기간 중인 16일부터 21일까지 대통령을 비롯해 국무총리,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차관, 농림부 장‧차관, 행안부 장관대행, 금강유역환경청장, 제2작전사령관 등 많은 인사들이 제방붕괴 현장을 방문해 피해복구 상황을 점검하고 이재민을 위로했다. 

24시간 철야 복구작업을 진행하면서 “복구 현장에 방문했던 주요 인사들의 격려가 힘이 되셨겠다”는 기자의 질문에 김 과장은 100% 수긍하는 표정이 아니다. 

그러면서 김봉순 과장은 “악조건 속에서 분투하는 힘든 현장에서 주요 인사들의 방문과 격려는 당연히 힘이 되죠. 그런데 시각을 다투는 복구 현장에서 브리핑 자료 만들고, 제방이라는 특성상 한정적인 장비의 이동 동선이 방문 인사들의 차량에 막혀 공사 진행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고 토로한다.

김 과장은 “하여간 ‘인명피해가 없었다’는 점이 무엇보다 감사하고, 무사히 제방을 복구하고 나흘만에 집에 가서 제일 먼저 샤워를 했다”며,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몇 날을 안 씻고도 살 수 있었는지 무척 궁금하다”며 너스레를 떨었다.

김봉순 과장은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의 사후 복구보다 사전 예방이 중요하다. 어차피 쓸 돈이라면 피해가 발생하기 전에 투입하는 게 낫지 않겠냐?”고 반문하면서, “정부는 이 점을 고려해 예산과 재정 투입에 우선순위를 정비해 주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한다.

매일경제 보도에 의하면 “지방하천은 원래 중앙정부가 관리하다가 2020년부터 지자체로 관할이 넘어갔다. 지방하천 정비사업 사업이 지자체로 이양되면서 국세인 부가가치세 일부를 지방세로 전환해 이양된 업무에 필요한 재정을 확보해줬다. 하지만 금액 자체가 한정적인 데다 재원 중 지방하천 정비에 꼭 얼마를 써야 한다는 꼬리표가 붙어 있지 않다 보니 지자체장 성과로 잡히기 좋은 사업에 재원을 우선 쓰고, 지방하천 정비는 후순위로 밀리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맞는 이야기다. 짧고 강렬했던 폭우와 제방 붕괴는 금세 한달 반 전의 과거가 돼 버렸다. 작년에는 서울 강남역 일대가 물바다가 됐고, 올해는 오송 지하차도에서 참변이 일어났다. 건설과 과장이 해마다 사투를 벌이는 일이 연중행사가 되어서는 안 될 일이다. 

논산시는 당장의 성과과 나타나는 ‘친수 사업’도 중요하겠지만, ‘치수 사업’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 전영주 편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