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3.1 운동 100주년’ 항일 독립운동의 역사의 현장으로

놀뫼신문
2019-03-12

[서울1]서대문독립공원 독립문_서영진촬영

[서울1]31독립선언기념탑_서영진촬영

[서울1]구 러시아공사관-서영진촬영

[서울1]돈의문박물관마을 돈의문 전시관_서영진촬영

[서울1]돈의문 전시관 마을사진 전시물-서영진촬영

[서울1]서대문형무소역사관 대형태극기_서영진촬영

[서울1]서울역사박물관 외관-서영진촬영


낯익은 길목에 담긴 근대사의 함성과 눈물

『서울 도심 투어』


[서울 종로구·중구·서대문구 일대]

3월에 맞는 ‘서울의 봄’은 숭고하다. 서울 도심 곳곳에 일제강점기의 흔적이 있는 공간이 자리한다. 서울역사박물관, 경희궁, 경교장, 정동길, 서대문독립공원 등은 3·1운동 전후의 시대적 사연이 길목마다 깃든 곳이다. 서울은 항일 민족운동의 중심지였고, 3·1운동은 올해로 100주년을 맞는다. 

서울역사박물관에는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 등 시대별로 서울의 변화상이 전시된다. 3·1운동 관련 특별전 〈딜쿠샤와 호박목걸이〉 〈서울과 평양의 3·1운동〉도 열린다. 

박물관 옆 경희궁은 일제강점기에 훼손된 아픈 역사가 서린 궁궐이다. 

경희궁을 나서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주석 김구 선생이 집무실과 숙소로 사용한 경교장, 도심 재생에 예술을 덧씌운 돈의문박물관마을로 이어져 시간 여행을 부추긴다. 

정동길에는 근대사의 애환이 담긴 유적이 모여 있다. 아관파천 당시 고종이 걸어간 ‘고종의길’, 을사늑약이 체결된 중명전이 가슴 시리다. 

근대사 도심 여행은 서대문독립공원으로 이동하며 무르익는다. 공원 내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는 3·1운동 때 열사들이 갇힌 옥사와 저항의 현장이 고스란히 남았다. 

독립선언서를 전 세계에 타전한 앨버트 테일러가 살던 행촌동 딜쿠샤, 일제강점기 천재 시인 이상의집 등을 걸어서 둘러보면 좋다. 

*문의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 02)724-0274 / 경교장 02)735-2038 / 중명전 02)771-9952 / 서대문독립공원 02)3140-8305


[서울]망우리공원__채지형 촬영

[서울]망우리공원_만해 한용운 시인의 묘소_채지형 촬영

[서울]망우리공원_만해 한용운 시인의 묘소로 가는 길_채지형 촬영

[서울]망우리공원_사진과 설명을 보고 있는 방문객_채지형 촬영

[서울]망우리공원_시민의 근심을 듣는 우체통_채지형 촬영

[서울]망우리공원_우리나라의 독립을 위해 애쓰신 독립운동가 분들_채지형 촬영

[서울]망우리공원_유관순_채지형 촬영

[서울]망우리공원_이중섭 화가의 묘소있는 그림비석_채지형 촬영

[서울]소파 방정환의 묘소_채지형 촬영


뜨거운 역사를 품은 야외 박물관

『서울 망우리공원』


[서울 중랑구 망우동]

나라를 위해 꽃 같은 청춘을 바친 애국지사가 생각나는 3월이다.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망우리공원에서 독립운동가의 삶을 더듬어보면 어떨까. 

망우리공원은 뜨거운 역사를 품은 야외 박물관이다. 만해 한용운, 위창 오세창, 호암 문일평, 소파 방정환 등 독립을 위해 헌신한 애국지사들이 이곳에 잠들었다. 이들의 넋을 기리기 위해 세운 연보비를 읽다 보면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는 목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화가 이중섭과 시인 박인환 등 근현대사에 한 획을 그은 예술가의 묘지도 있다. 망우리공원은 숲이 우거져 고즈넉하게 산책하기 좋다. 5.2km에 달하는 ‘사색의길’도 조성됐다. 

망우리공원에서 역사 인물을 만났다면, 동구릉에서 조선의 왕을 알현할 차례다. 동구릉은 조선왕조의 숨결이 느껴지는 세계유산으로, 왕릉 9기가 있다. 

봉화산 정상에 있는 아차산봉수대터도 역사적인 장소다. 아차산봉수대는 양주 한이산에서 남산으로 전달한 봉수대다. 

망우리공원 근처에는 도심에서 캠핑을 즐길 수 있는 중랑캠핑숲, 높이 17m에 폭 30m 규모 중랑스포츠클라이밍장도 있어 봄나들이에 안성맞춤이다.

*문의 중랑구청 문화관광과 02)2094-1814


[괴산]홍범식고택 전경_진우석촬영

[괴산]괴산보훈공원의 충열탑_진우석 촬영

[괴산]제월대 주차장에 자리한 홍명희 문학비_진우석 촬영

[괴산]충민사 사당 뒤에 자리한 김시민 묘소_진우석 촬영


“나는 홍범식의 아들이다” 

2대에 걸친 독립운동의 근거지

『괴산 홍범식 고가』


[충북 괴산군 괴산읍 임꺽정로]

1910년 한일병합조약으로 대한제국이 국권을 빼앗기자, 아버지는 분노를 참지 못하고 자결했다. 아버지는 아들에게 “죽을지언정 친일하지 말고 먼 훗날에라도 나를 욕되게 하지 마라”라는 유서를 남겼다. 이를 본 아들의 마음이 어땠을까. 아버지는 독립운동가 일완 홍범식이고, 아들은 소설가 벽초 홍명희다. 

아버지의 유훈을 받은 홍명희는 고향 괴산에서 3·1운동을 주도하고, 독립운동에 투신해 끝내 변절하지 않았다. 그리고 자식들에게 “나는 홍범식의 아들이다”라고 당당히 말했다. 

3·1운동 100주년이 되는 3월에 괴산으로 여행을 떠난다면 홍범식과 홍명희가 태어난 홍범식 고가에 가보자. 충렬탑과 충혼탑이 자리한 괴산보훈공원, 홍명희가 자주 찾았다는 고산정과 제월대 등을 돌아보며 대를 이어 독립운동에 투신한 부자(父子)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도 좋다.

문화유산과 수려한 자연이 어우러진 괴산의 명소 역시 놓칠 수 없다. 진주성대첩의 명장 김시민 장군을 모신 충민사, 호젓하게 자연을 즐기기 좋은 성불산자연휴양림, 괴산호의 절경이 펼쳐지는 연하협구름다리 등을 둘러보면 괴산 여행이 더욱 즐거워진다.

*문의 괴산군청 문화체육관광과 043)830-3453


[천안]독립기념관 겨례의 탑_최갑수 촬영

[천안]태극기 한마당_최갑수 촬영

[천안]불굴의 한국인상-최갑수 촬영

[천안]웅장한 위용을 자랑하는 겨례의 집_최갑수 촬영

[천안]독립을 위해 애쓴 선열들을 만날 수 있는 독립기념관_최갑수 촬영

[천안]유관순열사 기념관_최갑수 촬영

[천안]유관순 열사 생가는 만세 운동 당시 전소된 것을 복원한 것이다_최갑수 촬영

[천안]미나릿골 벽화마을_최갑수 촬영


그날의 함성을 되새기며

『천안 독립기념관과 유관순 열사 생가』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삼방로(독립기념관) / 동남구 병천면 유관순생가길(유관순 열사 생가)]

천안에는 독립운동의 함성과 결의, 일제강점기의 고통을 되새겨볼 만한 곳이 여럿 있다. 먼저 외침을 극복하고 독립을 지켜온 우리 민족의 국난 극복사를 살펴볼 수 있는 독립기념관으로 가자. 높이 51m에 이르는 ‘겨레의탑’, 동양 최대 기와집인 ‘겨레의집’ 등이 보는 이를 압도한다. 우리 역사와 일제의 침략, 독립운동을 시기별로 전시한 7개 전시관은 다양한 문헌 자료와 체험 시설로 방문객을 맞는다. 이를 따라가다 보면 독립운동의 의미와 민족의 소중함이 느껴진다. 

병천은 독립 만세 운동이 전국으로 번지는 도화선이 된 ‘아우내장터 만세 운동’을 더듬어보는 공간이다. 1902년 병천면 용두리에서 태어난 유관순 열사는 아우내장터 만세 운동을 주도하다가 체포되어 옥사했다. 당시 전소된 가옥과 헛간을 복원한 유관순 열사 생가가 있다. 가까운 곳에 자리한 유관순 열사 유적에는 그의 영정이 모셔진 추모각과 동상, 기념관 등이 열사의 숭고한 뜻을 기린다.  

천안은 미술 테마 여행으로 즐겨도 좋다. 천안종합터미널 앞에 조성된 아라리오광장은 세계적인 현대미술 작품이 전시된 야외 갤러리다. 상파울루비엔날레에서 조각가로 명성을 날린 이종각의 작품이 있는 리각미술관, 벽화가 예쁜 미나릿길골목벽화마을도 가깝다.

*문의 천안시청 문화관광과 041)521-5173


[완도]소안항일운동기념관의 당사도등대 습격사건 모형_문일식 촬영

[완도]보길도 동천석실과 부용동 풍경_문일식 촬영

[완도]소안 항일운동기념탑 전경_문일식 촬영

[완도]소안도 소안항에 세워진 소안도 표지석_문일식 촬영

[완도]복원된 사립소안학교의 종을 치고 있는 소안항일운동기념사업회장_문일식 촬영

[완도]소안항일운동기념관 독립운동가 부조물_문일식 촬영


항일의 땅, 해방의 섬

『완도 소안도』


[전남 완도군 소안면 소안로]

소안도는 ‘항일의 땅, 해방의 섬, 365일 태극기가 펄럭이는 태극기의 섬’이다. 함경도 북청, 부산 동래와 함께 항일운동의 3대 성지로 불릴 만큼 치열한 저항 정신을 보여준 곳이다. 

당사도등대 습격 사건을 비롯해 13년 동안 끈질기게 법정투쟁을 벌여 승소한 ‘전면 토지소유권 반환 청구 소송’, 주민의 자발적인 모금으로 설립한 사립소안학교와 이곳이 폐교된 후 다시 열기 위한 탄원서 제출 등 일일이 나열하기 힘들 정도다. 

소안도에서 건국훈장을 받은 독립 유공자가 20명이나 된다는 사실로도 항일운동의 성지라 불릴 이유는 충분하다. 소안항일운동기념관에는 이런 저항의 역사가 고스란히 남았고, 복원된 사립소안학교는 소안도의 자존심으로 우뚝 섰다. 

소안항일운동기념관 앞으로 가학산과 부흥산을 끼고 해안도로가 이어진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완도 미라리와 맹선리 상록수림, 풍경이 아름다운 물치기미전망대, 해맞이일출공원 등을 만날 수 있다. 

소안도와 가까운 보길도는 〈어부사시사〉로 잘 알려진 고산 윤선도의 섬이다. 그의 흔적이 묻어나는 세연정, 곡수당, 낙서재, 동천석실 등 보길도윤선도원림(명승 34호)도 꼭 만나보자.

*문의 완도군청 관광정책과 061)550-5412


[안동]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실내 전시_정은주 촬영

[안동]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_ 독립운동에 나선 이들의 이름을 적은 추모벽_정은주 촬영

[안동]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벽관체험_정은주 촬영

[안동]임청각 군자정 안에 걸린 독립유공 훈장증_정은주 촬영

[안동]임청각 대문_정은주 촬영

[안동]임청각_고택스테이도 가능하다_정은주 촬영

[안동]이육사 문학관_정은주 촬영

[안동]이육사문학관 실내전시_정은주 촬영


독립운동의 성지에 가다

『안동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내앞마을, 임청각』


[경북 안동시 임하면 독립기념관길(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내앞마을) / 안동시 임청각길(임청각)]

안동은 시·군 단위로 전국에서 독립 유공자(약 350명)가 가장 많은 지역이다. 

안동의 독립운동 역사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으로 가자. 1894년 갑오 의병부터 1945년 광복까지 줄기차게 이어진 안동과 경북 독립지사의 투쟁을 문헌과 자료, 영상으로 소개한다. 특히 혁신 유림이 만주 지역에서 벌인 항일 투쟁이 눈길을 끈다. 

기념관을 나서면 독립운동의 성지로 알려진 내앞마을이다. ‘만주벌 호랑이’로 불린 일송 김동삼 생가와 일가를 이끌고 만주로 떠나 독립운동에 매진한 김대락의 집(백하구려)이 있다. 

임청각은 대한민국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의 생가이자, 3대에 이은 독립운동의 산실이다. 독립운동가의 집이자 500년 역사가 있는 고택에서 묵어가는 하룻밤은 그야말로 특별하다. 

임청각에서 가까운 월영교를 찾아 밤경치를 만끽해도 좋다. 

다음 날은 도산서원과 이육사문학관을 방문해보자. 도산서원은 조선의 대표적인 유학자 퇴계 이황을 모신 곳이다. 근처에 이육사문학관이 자리한다. 〈청포도〉 〈광야〉 등 수많은 저항시를 쓴 이육사 선생의 곧은 독립 의지를 배울 수 있다.

*문의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054)820-2600 / 임청각 054)859-0025


[밀양]밀양독립운동기념관 앞의 기념탑_구완회 촬영

[밀양]313 밀양만세운동이 벌어진 밀양 관아터_구완회 촬영

[밀양]밀양 관아지의 송덕비_구완회 촬영

[밀양]밀양 만세운동 벽화_구완회 촬영

[밀양]해천 항일운동테마거리의 웹툰 벽화_구완회 촬영

[밀양]약산 김원봉과 아내 박차정_구완회 촬영

[밀양]약산과 아내 박차정의 독립운동 활동 안내판_구완회 촬영

[밀양]윤세주 열사 기념비_구완회 촬영

[밀양]의열단 격문과 당시 사용하던 것과 같은 모델의 권총_구완회 촬영

[밀양]의열단은 밀양 청년들이 주축을 이루었다_구완회 촬영


약산 김원봉 따라 항일 독립운동 산책

『밀양 의열기념관&해천항일운동테마거리』


[경남 밀양시 노상하1길(의열기념관) / 밀양시 석정로(해천항일운동테마거리)]

“나, 밀양 사람 김원봉이오.” 

영화 〈암살〉을 통해 재조명된 의열단장 김원봉의 고향 밀양은 일제강점기 항일 독립운동의 요람이다. 지난해 김원봉 생가 터에 문을 연 의열기념관과 이 일대에 조성된 해천항일운동테마거리에서 밀양 출신 독립운동가의 활약상을 살펴볼 수 있다. 

의열기념관에는 김원봉과 윤세주 등 밀양의 청년이 주축이 되어 결성한 의열단의 활동, 조선의용대와 한국광복군으로 이어지는 항일 무장투쟁의 역사가 펼쳐진다. 

의열기념관 앞을 흐르는 해천 일대 산책로에는 밀양의 만세 운동과 다양한 독립운동의 모습을 벽화로 생생하게 표현했다. 

치열한 독립운동의 흔적은 밀양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의열기념관과 500m 거리에 있는 밀양 관아지는 1919년 3월 13일 밀양의 만세 운동이 벌어진 현장이다. 

진주 촉석루, 평양 부벽루와 함께 우리나라 3대 명루로 꼽히는 밀양 영남루도 독립운동과 연결된다. 

밀양아리랑대공원 안에 자리잡은 밀양독립운동기념관에서는 밀양의 독립운동 역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문의 의열기념관 055)351-0815


자료제공 한국관광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