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학회·행정학회와 공동 주관…“율곡 정신, 현대 공직사회에 되살리자”

한국유교문화진흥원(원장 정재근, 이하 한유진)은 6월 26일 ‘유교문화의 공직가치와 율곡학의 계승’을 주제로 「2025 유교문화와 공직가치 학술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한유진과 한국행정학회(회장 정광호), 율곡학회(회장 김문준)가 공동으로 주관했으며, 신동헌 충남도 자치안전실장, 조용훈 논산시의회 의장, 김영관 논산시 부시장, 장헌범 지방자치인재개발원 교수부장 등 각계 인사와 학계 전문가, 지역 유림, 공무원, 시민 등 1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유진에서 진행됐다.
이번 학술행사는 율곡 이이의 애민(愛民)·경세(經世) 정신을 계승한 충청 유학자들의 학문을 조명하고, 유교의 공직가치를 현대 행정과 공직사회에 어떻게 접목할 수 있을지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1부에서는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인 박병련 교수가 ‘유교이념과 조선왕조의 관료 유형’, 강원대 임의영 교수가 ‘공직가치의 토대 : 공공성’을 주제로 특별강연을 진행했다. 두 강연에서는 조선의 관료제 형성 및 작동원리, 그리고 한국사회에서의 공공성 실현 전략 등이 심도 있게 제시됐다.
2부 제1분과에서는 △이경동 고려대 글로벌인문학연구원 연구교수의 ‘묵재 가문의 율곡 경세 정신 계승과 실현 방안’, △김지은 고려대 철학과 강사의 ‘농암학파의 율곡 경세 정신과 실현방안’, △배수호 성균관대 행정학과 교수의 ‘현대 행정학 연구의 길라잡이로서 호락논쟁’이란 주제로 율곡의 경세정신의 계승 및 오늘날 행정학 연구에서의 적용방안이 발표됐다.
2부 제2분과에서는 △박학래 국립군산대 교수의 ‘호론 학맥의 전개 양상과 율곡학의 계승’, △유지웅 전북대 교수의 ‘낙학파의 율곡학 계승과 전개’ △윤여갑 충남대 한문학과 박사의 ‘윤증학파의 율곡학 계승과 전개’ 란 주제로 율곡의 학문을 이어 받은 충청유학자들의 다양한 학파가 조명되었다.
각 분과 발표 후에는 이달곤 동반성장위원장과 김문준 율곡학회장이 좌장을 맡아 토론을 진행했으며, 종합토론에서는 정정길 서울대 명예교수 주재 하에 유학 및 행정 전문가, 현직 공무원이 참여한 열띤 논의가 펼쳐졌다.
축사에 나선 김영관 논산시 부시장과 조용훈 시의회 의장은 “기호유학의 중심지 논산에서 유교와 공직의 접점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돼 의미 깊다”고 밝혔으며, 신동헌 자치안전실장은 “율곡의 개혁정신은 도민의 안전과 복지를 책임지는 공직자의 자세에 큰 시사점을 준다”고 강조했다.
정재근 한유진 원장은“율곡 이이 선생은 조선 성리학의 체계화와 발전에 크게 기여한 학자이자, 현실 정치·사회 개혁을 이끈 대표적 실천지성”이라며, “이번 학술대회에서 도출된 행정·유교 전문가들의 의견은 진흥원의 공무원 교육 및 연수프로그램 개발에 적극 반영하겠다”라고 밝혔다.
율곡학회·행정학회와 공동 주관…“율곡 정신, 현대 공직사회에 되살리자”
한국유교문화진흥원(원장 정재근, 이하 한유진)은 6월 26일 ‘유교문화의 공직가치와 율곡학의 계승’을 주제로 「2025 유교문화와 공직가치 학술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한유진과 한국행정학회(회장 정광호), 율곡학회(회장 김문준)가 공동으로 주관했으며, 신동헌 충남도 자치안전실장, 조용훈 논산시의회 의장, 김영관 논산시 부시장, 장헌범 지방자치인재개발원 교수부장 등 각계 인사와 학계 전문가, 지역 유림, 공무원, 시민 등 1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유진에서 진행됐다.
이번 학술행사는 율곡 이이의 애민(愛民)·경세(經世) 정신을 계승한 충청 유학자들의 학문을 조명하고, 유교의 공직가치를 현대 행정과 공직사회에 어떻게 접목할 수 있을지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1부에서는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인 박병련 교수가 ‘유교이념과 조선왕조의 관료 유형’, 강원대 임의영 교수가 ‘공직가치의 토대 : 공공성’을 주제로 특별강연을 진행했다. 두 강연에서는 조선의 관료제 형성 및 작동원리, 그리고 한국사회에서의 공공성 실현 전략 등이 심도 있게 제시됐다.
2부 제1분과에서는 △이경동 고려대 글로벌인문학연구원 연구교수의 ‘묵재 가문의 율곡 경세 정신 계승과 실현 방안’, △김지은 고려대 철학과 강사의 ‘농암학파의 율곡 경세 정신과 실현방안’, △배수호 성균관대 행정학과 교수의 ‘현대 행정학 연구의 길라잡이로서 호락논쟁’이란 주제로 율곡의 경세정신의 계승 및 오늘날 행정학 연구에서의 적용방안이 발표됐다.
2부 제2분과에서는 △박학래 국립군산대 교수의 ‘호론 학맥의 전개 양상과 율곡학의 계승’, △유지웅 전북대 교수의 ‘낙학파의 율곡학 계승과 전개’ △윤여갑 충남대 한문학과 박사의 ‘윤증학파의 율곡학 계승과 전개’ 란 주제로 율곡의 학문을 이어 받은 충청유학자들의 다양한 학파가 조명되었다.
각 분과 발표 후에는 이달곤 동반성장위원장과 김문준 율곡학회장이 좌장을 맡아 토론을 진행했으며, 종합토론에서는 정정길 서울대 명예교수 주재 하에 유학 및 행정 전문가, 현직 공무원이 참여한 열띤 논의가 펼쳐졌다.
축사에 나선 김영관 논산시 부시장과 조용훈 시의회 의장은 “기호유학의 중심지 논산에서 유교와 공직의 접점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돼 의미 깊다”고 밝혔으며, 신동헌 자치안전실장은 “율곡의 개혁정신은 도민의 안전과 복지를 책임지는 공직자의 자세에 큰 시사점을 준다”고 강조했다.
정재근 한유진 원장은“율곡 이이 선생은 조선 성리학의 체계화와 발전에 크게 기여한 학자이자, 현실 정치·사회 개혁을 이끈 대표적 실천지성”이라며, “이번 학술대회에서 도출된 행정·유교 전문가들의 의견은 진흥원의 공무원 교육 및 연수프로그램 개발에 적극 반영하겠다”라고 밝혔다.